실내 고정형 디스플레이 화면 설치 방법

실내 고정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설치는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입니다. 그 품질은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성능, 안정성, 그리고 수명을 직접적으로 좌우합니다. 단순한 벽걸이형 TV와는 달리, 구조 공학, 전기 시스템, 신호 전송, 방열 등 여러 전문 분야가 관여합니다. 설치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.

1단계: 현장 검사

1) 벽 설치: 벽의 재질(콘크리트, 벽돌, 경량철골 스터드 건식벽체 칸막이 등), 내하중성, 평탄도, 수직성을 확인하세요.

벽은 디스플레이와 지지 구조물의 무게를 합친 무게(일반적으로 제곱미터당 60~150kg 이상)를 지탱해야 합니다.

2) 주변 조명: 설치 위치의 주변 조명 강도를 평가하세요. 특히, 창문이 화면을 직접 향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. 이는 디스플레이의 밝기 설정에 영향을 미칩니다.

3) 유지보수 공간: 유지보수 접근이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디에 필요한지 결정합니다. 이는 장착 프레임과 벽 사이에 서비스 통로를 확보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.

4) 전면 유지 관리: 스크린 앞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특수 공구를 사용하여 전면에서 모듈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이나 매립형 설치에 적합합니다.

현재 가장 흔한 방법입니다.

5) 후방 유지관리: 기술자가 후방에서 유지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크린 뒤쪽으로 최소 0.8~1.2m의 여유 공간이 필요합니다.

6) 접근 경로: 엘리베이터, 계단, 출입구의 치수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캐비닛이나 모듈을 설치 현장으로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는지 확인하세요.

2단계: 디자인 확인

1) 설치 구조 도면: 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철골 구조 지지 도면을 설계 또는 확정합니다. 도면에는 철골 규격, 용접/접합 방식, 벽체 고정 위치(예: 케미컬 볼트, 팽창 볼트)가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합니다.

2) 전력 분배 계획: 전력 케이블의 전선 직경과 경로를 계획하고, 주 회로 차단기와 분전함의 위치를 확인합니다.

에어컨이나 고출력 조명 등의 장비와 화면을 공유하지 않으려면 디스플레이 화면 전용 회로를 별도로 설정해야 합니다.

3) 신호 케이블 연결: 플레이어가 있는 제어실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설치 위치까지 네트워크 케이블, 광섬유 케이블 및 기타 신호 케이블의 경로를 계획합니다.

3단계: 캐비닛/모듈 설치

캐비닛형 LED 디스플레이:
각 캐비닛을 철제 구조물 지지대에 미리 설치된 후크나 볼트에 개별적으로 장착합니다. 설치는 일반적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, 중앙에서 양쪽으로 진행하여 조정을 용이하게 합니다.

모듈형 LED 디스플레이:
먼저 철골 구조물에 자석 또는 스냅핏 브래킷을 설치하세요. 그런 다음 각 모듈을 자석으로 부착하거나 스냅으로 고정하여 개별적으로 부착하세요.

그런 다음 화면의 전반적인 평탄도를 확인하고 조정하세요.

4단계: 제어 시스템 설치

제어 컴퓨터 내부에 송신기 카드를 설치하고, 디스플레이 화면 캐비닛 내부에 수신기 카드와 비디오 프로세서를 설치합니다.

5단계: 전원 케이블과 신호 케이블을 연결합니다.

6단계: LED 디스플레이 화면 디버깅

1) 디버깅 소프트웨어에 연결: 제조업체의 디버깅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화면에서 수신 카드를 검색하고 연결합니다.

2) 화면 매개변수 설정: 디스플레이 크기(길이, 너비, 픽셀), 스캐닝 방법, 재생 빈도와 같은 기본 매개변수를 설정합니다.

3) 밝기 및 색상 보정:

4) 밝기 조절: 주변 광 강도에 따라 화면 밝기를 편안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수준으로 조절합니다.

5) 화이트 밸런스 보정: 색상 캐스트 없이 순수한 흰색을 화면에 표시하고 정확한 색상 재현을 보장합니다.

6) 원활한 레이아웃 디버깅

마지막으로 위의 단계를 완료하면 LED 디스플레이 화면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.

ko_KR한국어
맨 위로 스크롤